블록체인 업계에 올해는 특히 중요한 해다. ICO 열풍은 사그라들었고 암호화폐 거래량과 가격까지 동시에 줄었다. 의미 있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암호화폐 붐은 일어나지 않을 거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개발자가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로 꼽히는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이 중 확장성
문제에 대한 솔루션이 가장 활발히 제시된다. 샤딩, 플라즈마, 사이드 체인, 스테이트 채널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이들과 함께 블록체인 업계에 또 하나의 확장성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카이버 네트워크의 ‘고르모스’다.
로이 루 카이버 네트워크 대표(사진)는 최근 디스트리트와 만나 자사의 확장성 솔루션인 고르모스를 소개했다. 그는 “현재 많이 논의되는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들을 살펴본 결과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장성 솔루션은 드물다고 생각했다”며 “앱의
특화된 용도에 따라 쓰이는 솔루션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해 고르모스를 선보였다”고 말했다.
카이버 네트워크의 고르모스는 모든 디앱이 아닌 특정 디앱에 특화된 솔루션이다. 특히 샤딩 기술로 하나하나 쪼개질 수 있는 특성의 앱에 적합하다. 로이 대표는 “우버를 예시로 들자면 요금, 여정, 나라별로 데이터를 나눠 처리할 수 있다”며 “이처럼 쪼개질 요소가 있는 앱에 고르모스 솔루션을 활용하기 적절하다. 덱스(DEX) 역시 적용하기 좋은 앱이다”라고 말했다.
로이 대표는 이어 “고르모스는 기존에 있던 확장성 솔루션보다 월등히 좋다기보다는 옵션을 추가시킨 개념”이라면서 “고르모스를 적용해 빨라질 수 있는 앱이면 써볼 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르모스는 전체 개발과정이 오픈소스로 진행돼 누구나 기여하고 활용할 수 있다. 로이 대표는 “확장성 문제를 풀고자 하는 디앱이 있다면 언제든지 가져다 쓸 수 있다”며 “많은 사람에 의해 발전한다면 충분히 좋은 솔루션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카이버 네트워크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덱스와도 잘 맞는
확장성 솔루션이므로 이용자가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로이
대표는 “올해 2분기 테스트넷 출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며 “그 이후에는 카이버 네트워크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도 활용할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