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 개인정보 보이스피싱 악용 주의보 등

By 코인니스   Posted: 2022-02-22

파이코인, 개인정보 보이스피싱 악용 주의보
전자신문에 따르면, 가상자산 ‘파이코인’ 내 개인정보가 보이스피싱 등에 악용되고 있다는 민원이 잇따르자 정보기관 등이 내사에 착수했다. 파이코인은 추천인을 많이 모을수록 채굴 속도가 빨라지며, ‘스텔라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고 주장하나 채굴 방식과 장부 검증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내용이 없다. 또한 상장된 거래소가 없어 실질적 가치가 없으며, 인출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KYC를 진행한 후 보이스피싱으로 이어졌다는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체가 불분명한 재단에 개인정보를 넘겨줄 경우 악용될 위험성이 크다”며 “보이스피싱은 물론 메타마스크 등 전자지갑에 보유하고 있는 가상자산도 탈취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명호 예탁원 사장 “블록체인 증권형 토큰 로드맵 마련”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명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오늘 부산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 토큰의 발행, 유통, 플랫폼 구축 로드맵을 마련하겠다”면서 “블록체인 기반 혁신 금융서비스의 제도권 내 편입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예탁결제원은 가상자산 입법 지원을 위해 ‘가상자산의 제도적 수용 방향’을 주제로 연구용역을 오는 6월까지 진행한다.

안드레 크로녜, 깃허브에 ‘무한 확장성 dApp 구축’ 암시
와이언파이낸스(YFI) 창시자이자 팬텀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안드레 크로녜(Andre Cronje)가 전날 깃허브에 코드 저장소 ‘zkftm’를 생성했다. 무한 확장성을 가진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한다는 소개 글이 추가됐다.

NFTSTAR, 3월 손흥민 NFT 컬렉션 출시
싱가포르 기반 글로벌 NFT 통합 플랫폼 기업 NFTSTAR가 3월 손흥민 NFT 컬렉션 ‘메타 손흥민’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손흥민 NFT 보유자는 NFTSTAR에서 차후 공개될 메타버스 및 게임에서 혜택을 제공받게 된다. 앞서 작년 11월 NFTSTAR는 손흥민 NFT 컬렉션 제작 및 발행에 대한 독점 계약을 완료했다.

비트코인 비관론자 “내가 틀렸다… 암호화폐는 필요”
비트코인 비관론자로 알려진 데이비드 하이네마이어 핸슨(David Heinemeier Hansson) 루비 온 레일즈(Ruby on Rails) 창업자이자 베이스캠프 파트너가 비트코인에 대한 입장을 번복했다. 그는 트위터에 “내가 틀렸다. 암호화폐는 필요하다”는 글을 게시하며 “캐나다 트럭시위와 정부 대응을 통해 모든 비트코인 괴짜들이 예언자였다는게 증명됐다. 베네수엘라, 중국, 이란 같이 실패했거나 명백히 권위적인 국가 뿐만 아니라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도 근본적으로 암호화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폰지 사기라고 말한 바 있다. 루비 온 레일즈는 전 세계 웹 백엔드 프레임워크 점유율 2위를 차지하는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다.

오픈씨 “NFT 컨트랙트 마이그레이션 작업 안전하다”
이더리움 기반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Opensea)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컨트랙트 마이그레이션 툴이 공격당할 가능성을 배제했다. NFT들을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이 안전하다”면서 “공격은 36시간 이상 멈춘 상태이며,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씨는 또 “웹사이트(opensea.io)를 통해 서명하는 한 오픈씨 서명 정보에 와이번 프로토콜(Wyvern Protocol) 로고가 포함될 수 있으며, 서명은 안전하게 진행된다”고 덧붙였다. 오픈씨는 지난 19일 비활성 상태의 NFT 등록을 취소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업그레이드 계획을 발표했으며, 해커들은 발표 직후 사용자들에게 피싱 이메일을 보내 얻은 마이그레이션 권한으로 NFT를 훔친 바 있다.

페이스북 “암호화폐 스캠 광고 대한 법적 책임 없다”
최근 호주 광산 재벌 앤드류 포레스트(Andrew Forrest)가 암호화폐 스캠 페이스북 광고에 사진 도용됐다며 페이스북을 고소한 데 대해 페이스북이 “우리는 법적 책임을 질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 가디언지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미국 통신품위법(Communications Decency) 230조에는 플랫폼이 제3자가 올린 게시물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도록 명시돼 있다”며 “또한 원고는 페이스북 서비스 약관에 사전 동의했기 때문에 우리는 암호화폐 스캠 광고로 인한 법적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이달초 앤드류 포레스트는 페이스북을 고소하며 “페이스북은 플랫폼 내 불법 광고의 악순환을 의도적으로 방치하며 이익을 얻고 있다. 이를 방치하는 것은 호주 자금 세탁 방지법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라고 지적한 바 있다.

넷마블 ‘골든 브로스’, 내달 2일부터 NFT 프리 세일 진행
전자신문에 따르면 넷마블 캐주얼 슈팅 게임 ‘골든 브로스(Golden Bros)’가 3월 2일부터 바이낸스 NFT마켓에서 1차 프리세일을 진행한다. 한정판 코스튬과 콜렉션 카드가 들어있는 미스터리 박스를 선보인다. 한정판 코스튬과 콜렉션 카드는 얼리 엑세스 오픈 또는 정식 출시 이후 게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다. 골든 브로스는 1차 프리세일을 시작으로 오는 3월 얼리 억세스를 오픈할 계획이다. 4월 모바일과 PC버전으로 글로벌 출시 예정이다. 한국과 중국 등 일부 국가는 제외다.

LG 올레드 TV, NFT 속 생생한 호랑이 모습 담았다
뉴스1에 따르면 LG전자는 다음달 9일까지 경기도 하남시 스타필드 하남에서 열리는 ‘Amulet 호령展_범을 깨우다’ 전시에 LG 올레드 TV 20여대를 설치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울 청담동 갤러리원에서는 원화 작품을, 스타필드 하남에서는 원화를 NFT화 한 디지털 작품을 올레드 TV로 선보인다. LG전자는 이달 중 카카오의 디지털지갑 클립(Klip)에 구매 보관 중인 NFT 작품을 TV에서 감상할 수 있는 ‘드롭스갤러리(Drops Gallery)’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앰버그룹, 2400억원 투자 유치.. 밸류에이션 3.5조원
블룸버그에 따르면,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디지털 자산 플랫폼 앰버그룹(Amber Group)이 2억 달러(약 240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 밸류에이션은 30억 달러(약 3.5조원)다. 싱가포르 국영 투자회사 테마섹홀딩스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세콰이어차이나, 판테라캐피탈, 타이거글로벌매니지먼트도 해당 라운드에 참여했다. 투자금은 유럽 및 미주 내 인력 충원, 글로벌 점유율 확대 등에 쓰일 예정이다. 이달 초 앰버그룹은 자회사 웨일핀 재팬(WhaleFin Japan)을 통해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디커렛(DeCurret Inc.)을 인수,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빗썸, 상장폐지 코인에 ‘개인지갑 출금’ 허용한다
디지털데일리에 따르면 개인 지갑에 대한 코인 출금을 전면 차단했던 빗썸이 상장폐지 코인에 한해서만 출금을 허용한다. 이번에 대상이 될 가상자산은 트루체인(TRUE), 이마이너(EM)다. 이는 빗썸이 개인 지갑에 대한 출금을 전면 금지하고, 일부 가상자산을 상장 폐지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다만 개인 지갑 출금을 위해선 해당 지갑의 주소를 빗썸에 등록하고, 자신 소유의 지갑임을 인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빗썸은 외부 거래소 지갑으로 출금하는 경우에도 이 같은 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개인 지갑이 아닌 외부 거래소 지갑으로 출금할 경우엔 빗썸이 지정한 거래소로만 출금이 가능하도록 했다. 빗썸은 출금 가능한 해외 거래소를 12개로 제한하고 있다.

피싱공격 받은 오픈씨, 소송 휘말려
최근 피싱공격을 받아 약 254개 NFT를 도난 당한 오픈씨가 소송에 휘말렸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미 텍사스 소재 남성 티모시 맥키미는 본인이 보유한 BAYC(Bored Ape Yacht Club) NFT #3475를 도난당했고 그후 누군가에게 99 ETH(약 25만달러)에 다시 팔렸다며, 오픈씨에 100만달러 이상 손해 배상할 것을 요구했다. 앞서 오픈씨는 이번 피싱 공격의 피해자 수는 17명이며 현재 공격은 멈춘 상태라고 전한 바 있다.

SK증권 “NFT 게임 아이템 사용처 확대…가치상승 전망”
데일리안에 따르면 SK증권이 게임 내에서 NFT 등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용처가 확대되고 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소중 SK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2022년부터 게임사들은 본격적으로 게임 아이템 또는 캐릭터를 일부 NFT 형태로 제공해 유저들이 소유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가치를 보존하고 사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SK증권은 블록체인 게임용 NFT 글로벌 시장 규모가 약 23억 달러(약 2조7000만원)로 전체 NFT 시장 규모의 22%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니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