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암호화폐 월간 거래량, 2개월 연속 1조 달러 돌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3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거래량이 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조 달러를 돌파했다. 3월 암호화폐 현물 거래량은 총 1.17조 달러로, 2월 1.223억 달러 대비 약 5% 감소했다.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거래량 중 65%는 바이낸스, 18% 후오비, 15%는 OKEx에서 나왔다. 또 3월 법정통화를 통한 암호화폐 거래량은 총 4,651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중 코인베이스가 22%, 업비트가 21%, 크라켄이 11%를 점유했다.
[외신 “깃허브 인프라 악용 암호화폐 악성채굴 공격 주의보”]
네트워크 보안 전문 미디어 시큐리티어페어(SecurityAffairs)가 “최근 인기 코드 저장 플랫폼 깃허브가 자체 인프라를 악용한 암호화폐 악성 채굴 공격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이러한 공격은 일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그들의 깃허브 내 외부 공격자의 악의적 활동을 제보한 2020년 말부터 보고됐다”고 3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공격자들은 깃허브내 ‘깃허브 액션’ 기능을 악용해 악성코드를 심고 감염된 숙주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을 진행한다. 경우에 따라 공격자는 한 번의 공격에 수백 명의 채굴자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공격은 인프라 컴퓨팅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SEC, 리플사 제출 일부 문건 비공개 요청 수용…문건 내용 수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RP, 시총 7위)이 현지 법원에 요청한 제출 문건 ‘기밀 보호 요청’을 수용, 리플사의 기밀 및 임원의 프라이버시가 포함된 일부 문건을 수정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리플랩스 측은 수정이 완료된 문건을 현지 법원 판사 사라 넷번(Sarah Netburn)에게 제출했다. 앞서 리플은 자사의 기밀 및 프라이버시가 담긴 문건 일부를 기밀로 봉인해달라고 판사에 요청한 바 있으며, SEC 측은 “리플이 이번 소송과 관련된 중요한 팩트들을 감추고 있다. 1933년 증권법에서 강제하고 있는 투자자 보호 공시 의무를 지키지 않고 있다”며 리플사의 요청을 거부한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밈블윔블 프로토콜 개발자 “LTC, 4분기 밈블윔블 활성화 전망”]
프라이버시 강화 프로토콜 밈블윔블의 개발자 데이비드(David)가 공식 채널을 통해 “라이트코인(LTC, 시총 9위)은 올 4분기 밈블윔블 프로토콜을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처음 라이트코인 전용 밈블윔블 프로토콜 코드 감사를 맡길 때도 libmw는 15만 줄에 달하는 코드 분량이었다. 작업량이 엄청났다. 개인적으로 MWEB(밈블윔블)이 큰 타격을 입을만한 공격을 받진 않을 것이라 확신하지만, 최근 Grin 프로토콜이 입은 공격 피해에 불안을 느꼈다. 따라서 더이상 코드 완성에 기한을 두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 코드 개선이 가능한 형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TC는 현재 4.09% 오른 215.2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패리스 힐튼, 트위터 프로필 ‘레이저 아이즈’로 변경]
기업가이자 셀럽 패리스 힐튼이 다른 비트코인 애호가들처럼 자신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레이저 아이즈’로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마이크로스트레티지의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CEO는 “레이저 아이즈를 모른다면 당신은 비트코인을 이해하지 못한다. 팀에 들어온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레이저 아이즈는 트위터에서 시작된 비트코인 홍보 트렌드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코인셰어스 CSO 멜텀 드미러스, 블록스트림 CSO 샘슨 모우 등이 참여한 바 있다.
[NFT 주간 거래량, 2월 중순 최대치 이후 감소세]
더블록에 따르면 NFT(대체불가토큰) 주간 거래량과 기타 지표가 2월 중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감소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명인들은 계속해서 NFT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2월 21일 NFT 주간 거래량은 1.964억 달러를 기록하며 최대치에 달했다. 이중 1.253억 달러(64%)가 NBA탑샷에서 발생했다. 그로부터 6주 뒤인 3월 28일 NFT 주간 거래량은 3432만 달러까지 떨어졌다. NBA탑샷 거래량은 여전히 전체 NFT 거래량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지만, NBA탑샷 거래량은 자체 최대치의 12%인 1523만 달러까지 줄었다. NBA 탑샷 주간 사용자 수도 3월 21일부터 3월 28일까지 70% 감소했다. 최근 몇 주간 이 플랫폼 사용자가 전체 NFT 플랫폼 사용자의 90% 이상을 차지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지표다. 미디어는 NFT 주간 거래량, 사용자 수, 거래수 모두 감소하고 있지만 피크(꼭지)를 찍었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덧붙였다.
[전 애플 임원, NFT 무료 생성 앱 S!NG 출시]
디크립트에 따르면 전 애플 임원 제프 오슬러(Geoff Osler)가 무료로 NFT(대체불가토큰)을 만들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S!NG을 출시했다. 예술가, 뮤지션 등 누구나 아이디어의 소유권을 쉽게 증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국에서는 저작권 등록 시 몇 주, 몇 달이 걸릴 수 있다. S!NG에 따르면 몇 초 안에 NFT를 만들 수 있으며 영구적인 블록체인 아카이브 스토리지를 통해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S!NG은 NFT 마켓플레이스 오픈씨와 제휴해 사용자가 창작물을 팔 수 있도록 지원 중이지만, 자체 플랫폼 론칭도 계획 중이다.
[EIP-1559 반대 해시파워 집중 시위, 사실상 실패]
레드판다마이닝(Red Panda Mining)이 주도한 이더리움 채굴자 51시간 해시파워 집중 시위가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고 크립토뉴스가 전했다. 이 시위는 EIP-1559에 반대하는 채굴자들이 이더리움 해시파워 51%를 4월 1일부터 51시간 동안 이더마인 풀(Ethermine pool)로 옮기는 시위였다. 하지만 전날 이더마인 풀의 해시파워 비중은 20%를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EIP-1559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용자들이 정해진 기본료를 내고 채굴자들에게는 팁을 줌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줄이는 제안으로, 7월로 예상되는 런던 하드포크와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코인니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