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중앙은행, 증권사에 암호화폐 관련 기업 상장 제한 권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이 증권사들에 19일 서한을 발송, 암호화폐 관련 기업의 상장을 제한할 것을 요청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기업들의 증시 상장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른 조치라는 설명이다. 중앙은행은 “러시아 밖에서 발행된 디지털 금융자산, 암호화폐 지수 추적, 암호화폐 파생 상품, 암호화폐 펀드 등 암호화폐 시장 가격에 의존하는 기업이 발행한 주식을 상장해서는 안된다”며 자산 관리자들에게도 “뮤추얼 펀드에서 이러한 금융상품을 제외할 것”을 권고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해당 권고안은 투자자들의 대규모 채택을 막기 위해 고안된 예방적 조치”라면서 “러시아에서 발행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또는 승인된 디지털 자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스위스 크립토 은행, 폴카닷 ETP 출시…스위스 증권거래소 상장 완료]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 금융시장감독청(FINMA)이 승인한 크립토 은행 SEBA Bank가 폴카닷 ETP 상품(SA1 Polkadot ETP:SDOT)을 출시, 스위스 증권거래소(SIX)에 상장을 마쳤다. 앞서 지난 2월 스위스 크립토 ETP 발행업체 21쉐어스(21Shares)가 폴카닷 ETP(21Shares Polkadot ETP:ADOT)를, 5월에는 블록체인 업체 발러(Valor)가 폴카닷 ETP(Valor Polkadot SEK ETP)를 출시한 바 있다.
[中 이통사 주도 블록체인 표준 권고안, ITU 회의 통과]
중국 3대 이동통신사 중 한 곳인 차이나 텔레콤이 자사가 주도한 2개의 블록체인 표준 권고안(Q23/WP1、Q2/WP3)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해당 표준 권고안은 지난 7월 5일~17일간 진행된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제13조(SG13) 회의에서 통과됐다. 중국, 미국, 영국, 캐나다, 한국 등 국가가 협의에 참여했다.
[이더리움 런던 하드포크 테스트 보고서 발표…EIP-1559 결함 복구 완료]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이더리움 개발자가 테스트넷에서 다가오는 런던 하드포크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중이다. 이더리움 수석 개발자 팀 베이코가 발표한 ‘런던 테스트넷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오픈 이더리움 클라이언트가 21일 롭스텐 테스트넷에서 가동이 중단되었다. 오픈 이더리움과 비수(Besu) 등 일부 클라이언트에서 블록 생성을 거부한 것. 이에 EIP-1559 거래의 유효성에 신규 어서션(assertions)을 추가해 문제를 해결했으며, 테스트가 지속 진행 중이다. 테스트는 6월 24일 롭스텐 테스트넷에서 먼저 가동 됐으며, 7월 초부터 린케비(Rinkeby) 테스트넷에서 최종 테스트 단계를 진행 중이다.
[폴카닷 창업자 “쿠사마 파라체인 안정화 후 1~2주 내 슬롯 경매 시작”]
폴카닷 창업자 개빈 우드(Gavin Wood)가 오늘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폴카닷&프렌즈(Polkadot&Friends) 오프라인 밋업에 연사로 참여해 “크로스체인 통합은 자산 이동에 그치지 않는다, 아직 해야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면서 “폴카닷 슬롯 경매 시작은 폴카닷 이사회가 결정할 사항이며, 쿠사마 파라체인이 안정적으로 작동한 후 1~2주 뒤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비탈릭 부테린, NFT 홍보 영상에 깜짝 출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배우 겸 벤처캐피털리스트 애쉬튼 커쳐(Ashton Kutcher)가 자신의 트위터에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등장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에서 비탈릭은 커쳐의 질문에 답변하며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명했다. 해당 트윗에 첨부된 링크와 해시태그는 이 동영상이 NFT 시리즈 ‘StonerCats’를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 졌음을 나타냈다.
[코인니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