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DID 백신패스 서비스, 메디패스서 4월 제공

블록체인 의료정보 플랫폼 ‘메디패스’를 운영하는 메디블록은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백신패스 서비스를 오는 4월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백신패스는 DID 기술을 활용해 질병관리청 및 연동 의료기관에 등록된 접종 내역 이력을 모바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DID 기술을 통해 개인의 백신 접종 이력 진본 여부를 증명한다. 연동 의료기관을 포함한 정보 제공 기관에 부여된 DID로 서명된 접종 증명 내역은 환자의 모바일에 저장된다. 환자가 원할 경우에만 외부로 공유할 수 있어 데이터 무단 사용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후 접종 내역을 공유받은 기타 기관 또는 개인은 DID를 활용해 해당 내역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메디블록이 백신패스에 활용한 자체 DID는 국제단체인 W3C에 공식 등록됐다. 이는 W3C 사이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메디블록에서는 W3C 공식 등록은 국제 표준을 따랐다는 것으로 다른 DID와 상호 호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고우균 메디블록 공동대표는 “기존 종이로 발급하는 증명서는 위변조에 대한 위험성도 높고 대면 상황만 커버할 수 있었다”며 “메디패스의 백신패스 서비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백신접종 이력을 증명하고 동시에 비대면 상황에서도 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어 실효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디블록은 우선 접종 대상자인 코로나19 확진자 치료 병원 의료진과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급 의료기관 의료인 등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거쳐 완성도를 확보할 예정이다. 이후 이르면 오는 4월 중으로 메디패스에서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백신패스를 제공하는 메디패스는 애플 앱스토어 혹은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이지영 기자]